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oday
Total
관리 메뉴

Asset Horizon

01) Valuation을 위한 회계 기초 본문

Studies/Valuation Accounting

01) Valuation을 위한 회계 기초

SHIN_HW 2017. 10. 12. 00:06

# 소개


 기업의 연차 사업보고서 또는 분기보고서에는 여러 가지 정보가 담겨있다. 그 중 이 글에서 다루는 것은 재무제표(FS, Financial Statements)에 관한 것이다. 재무제표란 쉽게 말해 기업의 가계부이다. 무엇을 얼마나 가지고 있고, 얼마나 썼고, 얼마나 벌었는지 등등 다양한 거래내역이 기록되어있다. 이러한 거래내역은 영업활동으로 분류되는 것도 있고, 일시적이거나 주된 영업과 관련이 없어 비영업활동으로 분류되는 것도 있다. 기업의 재무제표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하며, 각각의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대차대조표 (BS, Balance Sheet): 한 시점에서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과 부채를 나타냄

 2) 손익계산서 (IS, Income Statement): 한 기간 동안 발생한 기업의 이익과 비용을 나타냄

 3) 현금흐름표 (CF Cash Flow Statement): 한 기간 동안 발생한 현금흐름을 정리하여 나타냄

 4) 자본변동표 (SH's Equity Statement): 한 기간 동안 발생한 자본변동을 정리하여 나타냄


 한국의 경우 'DART(http://dart.fss.or.kr)'에서, 미국의 경우 'EDGAR(https://www.sec.gov/edgar/searchedgar/companysearch)'에서 각 기업의 재무제표를 편람할 수 있다. 또한 Bloomberg, Quantiwise, Dataguide 등 금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프로세싱 할 수도 있다.


 위 4개의 재무제표 이외에도 포괄손익계산서를 따로 제시하는 기업도 있으나, 재무분석 목적상 이는 크게 중요치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다. 또한 4번째 자본변동표도 그 활용도가 적은 것은 아니나 기본적인 재무분석상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다루지 않기로 한다. 따라서 우리가 앞으로 살펴 볼 재무제표는 BS, IS, CF로 한정된다.



# 대차대조표 항등식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BS로서, 현재의 재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대차대조표는 다음과 같은 항등식으로 구성된다.


자산 = 부채 + 자본


자산 (Asset)은 부채(Liability) 와 자본(Equity)의 합이며, 이 등식은 항등식이다. 자산이란, 쉽게 설명하여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회계학적 정의는 좀더 까다로우나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히 설명한다.) 그리고, 누군가에게 빚지고 있는 것을 부채라 부른다. 만약 자산가 A씨가 계좌에 10억원을 가지고 있지만 그 중 5억원은 은행에서 대출받은 것이라고 한다면, 자산 10억, 부채 5억이 되는 것이다. 자연적으로 자본은 남은 5억이 되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A씨가 가진 것 중, 진짜로 A씨에게 귀속되는 것은 현재 5억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자산과 부채, 자본의 각 항목(계정)을 정리한 것이 대차대조표이다. 



# 발생주의(Accrual Basis)


다음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개념은 발생주의(Accrual Basis)이다. 회계의 기록은 발생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발생주의란, 현금주의(Cash Basis)와 대비되는 원칙이다. 현금주의에서 수익은 현금의 유입이며, 비용은 현금의 유출이다. 하지만 기업의 거래는 신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제품의 판매나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 즉시 현금이 유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현금은 유입되지 않지만 회계적으로는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다. 발생주의 아래 수익인식은, 간단하게 말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제공시점에 이루어진다. (역시 회계학적 정의는 더욱 복잡하다.) 즉, 기업은 현금을 받지 않더라도, 물건을 전달하면서 매출을 기록하게 된다. 



# 수익-비용 대응(Matching)


한가지 더 알아야 할 것은 비용의 처리이다. 비용 처리는 기본적으로 수익-비용 대응원칙을 가진다. 이는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즉석 해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비용이 창출하는 적절한 매출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비용처리 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비용은 발생즉시 기록되지 않고, 해당 비용에 대응되는 수익이 발생할 때 그 기록된다. 일부 비용은 대응되는 매출이 불분명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발생즉시 비용 처리된다.


'Studies > Valuation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Cashflow Statement  (0) 2018.02.19
05) Income Statement - 기초 예시  (0) 2017.10.20
04) Income Statement - 설명  (0) 2017.10.17
03) Balance Sheet - 기초 예시  (0) 2017.10.16
02) Balance Sheet - 설명  (0) 2017.10.1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