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t Horizon
04) Income Statement - 설명 본문
# 개요
IS(Income Statement)는 기업의 수익 & 비용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때문에 이를 PL(Profit Loss)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BS와 크게 다른 점은 유량(Flow)개념이라는 것이다. BS는 저량(Stock) 개념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2016년 12월 31일 기준, 또는 2015년 12월 31일 기준 등 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하지만 IS의 경우 '1년 동안' 또는 '1분기 동안' 등 기간을 기준으로 한다. DART에서 사업보고서를 통해 기본적인 년간 기준 IS를 살펴볼 수 있다.
IS의 구조를 간단히 말하자면 Revenue(=sales, 매출)에서 출발해 비용(Costs & Expenses)를 차감하여, 마지막으로 이익(Profit)을 구해내는 방식으로 작성된다. 위에서부터 밑으로 내려가면서 다양한 비용이 차감되는데, 따라서 제일 위의 Revenue를 Top-Line이라고 부른다. IS의 간단한 구조를 예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영업이익
Top-Line에서 출발하면, 먼저 영업과 관련된 비용들을 차감해야 한다. 영업에는 Variable Costs(변동비) Fixed Expenses(고정비)가 있을 수 있다. 유의할 것은, 단기적으로는 구분이 가능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고정 비용 또한 Top-Line에 연동된다는 것이다. 즉 단기적으로는 변동 및 고정 비용을 나눌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고정되는 영업비용은 거의 없다.
변동비는 보통 매출원가(CoGS, Cost of Goods Sold)로 보고된다. 고정비의 경우 판매관리비(판관비, SG&A, Selling, general & administrative expenses)에 주로 보고된다. 하지만 회계적 분류는 경제적 실체를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다시한번 비용들을 분석해야 한다.
1. 매출원가로 보고되는 것은 1)원재료 구매비용, 2)제조 인건비, 3)제조자산 감가상각비 등이 있다.
2. 판관비로 보고되는 것은 대표적으로 1)관리 인건비, 2)수수료, 3)공과금, 4)운송비용, 5)관리자산 감가상각비 등이 있다.
인건비나 감가상각 비용은 매출원가와 판관비에 나뉘어 보고된다. 제조 인력에 대한 임금은 변동비적 성격이 강하지만, 관리인력은 매출규모와 단기적으로 관계가 약하기 때문이다. 감가상각비용도 마찬가지이다.
매출에서 변동비와 고정비를 차감하면 남는 것은 영업이익(OP, Operating Profit)이다. 위의 예시에서는 1,000(단위: BnW, 즉 1조원)의 수익에서 OP 200을 얻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때, 매출 대비 OP는 OPM(OP Margin)이라고 하며 예시상에서는 20%로 기록되어 있다.
# 당기순이익
OP에서 이자비용(Interest Expense)가 차감되면 세전이익(EBT, Earnings before tax, 또는 Pretax income, pretax profit)이 도출된다. 세전이익은 흔히 EBT로 불린다. 이자비용의 경우 기업의 Debt 규모와 그 Debt이 부담되는 요구수익률을 곱하여 산출된다.
예시에서는 EBT가 100, 세율은 20%로 가정하였다. 세율은 OP에 부과되지 않고 EBT에 부과되는데, 이를 기억해야 Valuation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EBT에 법인세(Tax Expense)까지 차감되면 이제 남는 것은 당기순이익(Net Income, 또는 Net Profit)이다. 흔히 NI로 부르며, 이에 대한 마진은 NPM(Net Profit Margin)으로 불린다. (용어가 혼용되는 것은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일반적 관행이라, 이해를 돕기 위한 조정 및 관행적 표현을 혼용하였다.)
'Studies > Valuation Accoun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Cashflow Statement (0) | 2018.02.19 |
---|---|
05) Income Statement - 기초 예시 (0) | 2017.10.20 |
03) Balance Sheet - 기초 예시 (0) | 2017.10.16 |
02) Balance Sheet - 설명 (0) | 2017.10.12 |
01) Valuation을 위한 회계 기초 (0) | 2017.10.12 |